Citation
조선어 철자법

Material Information

Title:
조선어 철자법
Abbreviated Title:
Chosŏnŏ ch'ŏljabop
Creator: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과학원
Chosŏn Minjujuŭi Inmin Konghwaguk Kwahagwŏn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 科學院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Academy of Sciences
Place of Publication:
평양
[P'yŏngyang]
Publisher: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과학원
Chosŏn Minjujuŭi Inmin Konghwaguk Kwahagwŏn
Publication Date:
Language:
Korean
Physical Description:
125 p. ; 19 cm.

Subjects

Subjects / Keywords:
Korean language -- Orthography and spelling ( lcsh )
조선말
한국어
朝鮮말
韓國語
Spatial Coverage:
Asia -- Korea -- Pyongan Province -- Pyongyang
아시아 -- 한국 -- 평안도 -- 평양
Coordinates:
39.019444 x 125.738056

Notes

General Note:
Digitised for preservation (brittle book)

Record Information

Source Institution:
SOAS University of London
Holding Location:
SOAS University of London
Rights Management:
Digitised for preservation (Brittle Book). This item may be protected by copyright but is made available here within SOAS only for non-profit research and educational purposes. Users of this work have responsibility for determining copyright status prior to reusing, publishing or reproducing this item for purposes other than what is allowed by fair use or other copyright exemptions. Any reuse of this item in excess of fair use or other copyright exemptions requires permission of the copyright holder.
Resource Identifier:
10004274 ( ALEPH )
CD401 /235526 ( SOAS classmark )
CD401 /236352 ( SOAS classmark )
CD413 /227685 ( SOAS classmark )

Full Text


조선어 철자법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과 학 원 발행


이 곳에 발간하는 자조선어 철자법》은 오늘날의 조
선 인민의 문자 생활에서 일정한 규범적 역할을 놀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조선 인민의 문자 생활의 앞으로
의 더 한층의 발전을 위하여는,장래에 조선 문자 개
혁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이에 따라 조선어 철자
법도 더욱 완성되여야 할 것이다.
조선어 및 조선 문학 연구소 과학 일/군들은 조선
어 철자법와 앞으로의 더 한층의 완성화를 위하여 계
속 꾸준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제《조선어.철자법》을 발간하면서,짝모든 것을
민주 기지 강화를 위한 전후 인민 경제 복구 발전에
로!》라는 조섶로동당과 공화국정부와 경애하는
수령 김 일성 원수의 호소를 높이 받들고 조국의 우수
한 문화의 더 한충의 개화를 위하여 전체 조선 인민이
자기의 언어와 문자에 대하여 더욱 깊은 관심을 볼탈
것을 기대한다.
1954ë…„ 9ì›”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과학원
조선어 및 조선문학 연구소


내 홍
총 칙.....................................
제 1 장 자모의 순서와 그 이름.
제2장 어 간과 토의 포기..........
제 3장 합성어의 표기..............
제4장 접두사와 어근의 포기….
제5장 어는과 접미사의 포기…’
제 6장 포준 발음법 및 표준어와
ᅳ관련된 철자법..........ᅳ
제 7‘장 띄 여 쓰기...................
제 8장 문장 부호...................
용례 색 인..........................

ê·¸
6
?
8
ᄉᄂ
1
3
3
å¹»
(?
3
4
0
9
5
ì‚°
7
1
一 3 ~




^ 선 여 철 자 법
총 칙
ᅡ 조선어 철자법은 단어에서 일정한
의미를 가지는 메개의 부분을 언제나 동
일한 형태로 표기하는 형태주의 원칙을
그 기본으로 삼는다.
조선어 철자법은 그 표기에 있어
일반 어음학적 원리에 의거하되, 조선어
에 고유한 발음상의 제 규칙을 존중한다.
문장에서 단서는 원칙적으로 의여
쓴다.
1 표준어는 조선 인민 사이에 사용되
는 공통성이 가장 많은 현대어 가운데서
이를 정한다.
모든 문서는 왼 쪽으로부터 오른 쪽
으로 가로 쓰는 것을 원칙으로 삼는다.
― 5 머“


제 1 장
자모의 순서와 그 이름
제11ᄂ 현재 쓰이고 있는 조선어 자
모의 순서와 그 이름은 다음과 같다.
ᄀ ᄂ ᄃ 5 ᄆ ᄇ
(기윽) (니은) (디음) (리을) (미음) (비읍)
ᄉ 6 ᄌᄎ^ 6
(시웃) (이응) (지옻) (치옻) (키을) (리을)
3! ᄒ 77 ᄄ 明
(피읖) (히읗) (된기옥) (된디음) (된비읍)
ᆻ ᄍ
(된시웃) (된지옻:)
?
ìš°
ìš”
오
슨
ì—¬
ê·¸
야
슨
ê·¸
ì•„
ᄉᄂ


비기(^
ê·¸
히 에
기
á…¤ ì–˜
슨
á…¢ ì• 
ᄉ-/
II 이
슨
1 ^
긔 丁1 니 ᅪ ᅯ 재데
(외:) (위) (의) (와) (워) (왜) (웨)
자음에 한하여는 또한 각각 다음파 길‘
이 부를 수도 있다.
(그) (느) (드:) (르가므) (보) (스) (으)
(즈) (츠) (크) (트:) (프; (흐) (끄) (뜨) ;
(쁘) (:쓰) (쯔)


제 2 장
어간과 토의 표기
제2항^ 조선어 철자법은 단어의 표기
에 있어 형태주의 원칙을 그 기본으로 삼
고 있다. 따라서 어간과 토가 어우를:적
에는 각각 그 형태를 고정시켜 어간과 토
의 원형을 밝히여 적는다.
ë¡€;
떡이 떡을 떡에
손이 손을 손에
말이 아으 말에
팔이 팔을 팔에
밤이 밤을 밤에
집이 집을 집에
옷이 옷을 옷에
통이 통을 통에
낮이 낮을 낮에
꽃이 꽃을 꽃에
부엌이 부엌을 부엌에
~ 8


에에에 에에에 에에
밭앞 밖^흐리 고라 삶 값
먹어
ì‹ ì–´
믿어
넘어
ìž…ì–´
웃어
찾아
좇아
같아
높아
좋아
깎아
앉아
많아
늙어
ì Šì–´
으01 올 으01 으프 으& 0-3:1 ᄋ경 을
밭 앞 치 삯 ^ 곬 삶 값
ê³ ê³ ê³ ê³  ê³ ê³ ê³ ê³  ê³ ê³ ê³ ê³  ê³ ê³ ê³ ê³  1
먹 신 믿 넘 입 웃 찾 좇 같 높 좋 깎 앉 많 늙 젊
60660 á„‹ 0 á„‹
밭 앞 ^^흐리 금 삶 값
다다다 다다다 다다다 다다다 다다다 다
먹 -신 믿 넘 입 웃 찾 쫓 같 높 좋 깎 앉 많 느21젊


다다다다다
넓 훑 옳 없 있
ë„“ê³ 
훑고
金고
없고
있고
ë„“ì–´
옳어
을어
없어
있어
제3항. 다음과 같은 단어들은 오늘날
의 언어 의식에 비추어 아래와 같이 갈라
적는다.
례;
0 어간파 토를 구별하여 적는 것.
같이 (같게:함께)
념어 가다
늘어지다(질게 되다:기운이 줄어지다)
더불어
돌아 가다 (기계가돌아 가다: 집으로 돌아 가
다: 죽다)
들어 가다
말미암아
화에(바깔에: 그것 이의에 [싸울밖에 없다])
벌어지다〔열리다: 전개되다)
붉어지다 (붉게 되다”)
빌어 먹다 (:얻어 '먹다)
흘어 지 다
떨어 버리다
ᅳ 10 ―


떨어 지다
쓸어 버리다
엎어지다
일어 나다
2〕어간파 토를 구별하지 않고 적는 것.
나 타 나 다
드러나다 (발각되디-:)
바라보디'
바라지다 (가로 퍼지다)
부러지다
불거지다 (겉으로 둑 내밀다)
배라먹다 (짝빌어 먹다》를 알잡아 쓰는 말)
사라지 다
자 라 나 다
자바 지 다
쓰려지다 (넘어지다)
마저 (그 동무마저)
부터 (오늘부터) 、
조차 (너조차)
제후항. 어간과토가 어우를 적에.토
의 성질에 다라 어간의 끝소리가 여러가
지로 바뀌여 들리고, 오늘날 쓰이는 조선
어 자모로서는 그 어간의 형태를 고정시
― II ―


킬 수 없거나 또는 재래의 표기법상의
관습이 굳어져 있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
이 적는다.
0 어간의 끝소리를 식ᄅ노〜작ᄋ상령ᅭ으로 적는
경우.
어간의 끝소리가 석1^,^야,^入높,
석오노로 시작되는 토 우에서는 들리지 않고,
기-타의 로 우에서는 [&]와 비슷하게 들
린다.
ë¡€;
갈다 갈고 갈며
가니 갑니4 가시니 가오
돌다 돌고 돌며
도니 듭니다 도시니 도오
불다 불고 불며
부니 불니다 부시니 부오
어간이 파&늦로 끝나는 동사와 형용사는 전부 이
에 속한다.
23 어간의 끝소리를 눅ᄉ》〜짜ᄋ스령ᅭ으로 적는
경우.
어간의 끝소리가 모음 토 우에서는 들
리지 않고, 자음 토 우에서는 다음에 오는
자음을되게 내게(《ᄀ^, 《入^을
이 야], I쎄 [찌로 내게) 한다.
― 12 머“


ë¡€ ï¼›
낫다 낫고- 낫지
나아 나으니
짓다 짓고 짓지
지어 지으니
잇다 잇고 잇지 ,
이어 이으니
어간의 끝소리를 ^효》〜《0〔령^으로
경우.
어 간의 끝소리 가 모음 토 및《I 자《&늦,
눅口기^닌》으로 시작되는토 우에서는다음에
오는 자음을 세게 내게 ᄀ《亡》, 치에
을 [키,[러,[치로 내게) 한다.
ë¡€ 5
| 거떻다 거떻고 거떻지
ᄉ 거머오 거머니 거머랴 거 머던
\거 업니다 (거매지다)
ᄉ커다랗다 커다랗고 커다랗지
^ 커 다라오 커 다라니 커 다라랴
I커다랍니다 (커다래지다)
I하얗다 하얗고 하얗지
|하야오 하야니 하야랴 하야면
1하압니다 (하얘지다)
각) 어간의 끝소리를《ᄃ》〜국ᄅ》로 적는 경우.
어간의 굴소리가 자음토 우에서는 〕와
13 ―


비슷하게들리고, 모음토우에서는[리와
비슷하게 들런다. ’
ë¡€;
(걷다 검:31 걷지
\걸어 걸으니
|듣다 듣고 듣지
\들어 들으니
ᄉ묻다ᄉ 묻고 묻지
1물어' 물으니 ,
5》어간의 끝소리를 에^〜《오^ 눅우》로 적는
경우.
어간의 끝소리가 모음 토 및 《ᄂ^
^므^ 석.口기 ^시》로 시작되는 토 우
에서는 반모음[우]로들리고, 기타의 로
우에서는 [님:!로 들린다.
|믈다 믈고 둡지
[王와 도우니
ᄉ맵다 맵고 맵지
1매워 메우니
/춥다 출고 춥지
\추워 추우니
6; 어간의끝소리를^ᄋ간령^〜짝ᄅ》로적는 경우.
어간의 끌소리 수一르》가《어^ 눅었》과 어
우를 적에 [ᅳ르려〕[一르렀〕으로 들런다.
― 14 머“


가르고
갈랐다
가르지
갈리다
기르지
길리다
흐르지
홀리다
ë¡€;
I 가르다
\갈라
기르다
질러
흐르다
ᄋ홀러
제5항. 한자억 기원의 단서에서 본음
이 설며, 뇨, 뉴, 니》인 것은 어느 위치에
서나 본음 대로 적고,발음도 그와 갈이
하는 것을 원칙적 방향으로 삼는다.
^누르다(黃) 누르고 누르지
I누르러 누르렀다
I푸르다(靑) 푸르고 푸르지
\푸르러 푸르렀다
I이르다(至) 이르고 이르지
I이르려 이르렀다
!) 어간의 끝소리를 석르》〜《ᄅᄅ》로 力는 경우. 1
어간의 끌소리《一르》가수ᅳ아,ᅳ어》,수一
았,一었& 수一이》와 어우를적에 卜一己라:I,
[ᅳ己려:I,[一己탔], ["ᅳ己렀^ (ᅳ브리〕로
들린다.
기르고
길렀다
흐르고
휼렀다
― 15 머“


례; (갑을 취하고 을을버린다)
ᅳ"갑ᅳ 一을ᅳ ᅳ참고ᅳ
며자(女子) 여자 남며(男女)
녕변(寧邊) 영변 안녕(安寧)
뇨도(尿道) 요도 수뇨관(輸尿管)
뉴대(紐帶) 유대
니탄(泥炭.) 이탄
제6항. 한자어 기원의 단어에서 본음
이《5》로 시작되는 것은 어느 위치에서
나 본음 대로 적고, 발음도 그와 같이 하
는 것을 원칙적 방향으로 삼는다.
례: (갑을 취하고 을을 버린디^
一갑一 ᅳ을ᅳ ᅳ참고ᅳ
락원(樂園) 낙원 오락(頃樂)
량심(良心) 양심 개량(改良)
력사(歷史) 역사 리력(履歷〕
로동(勞動) 노동 근로(勁勞〕
로금(料金) 요금 재 료(材料-)
루각〔樓閣) 누각 고루(高樓)
류학(留學) 유학 보류(保留)
롱묘(陵흉) 능묘 구롱(丘陵)
리유(理由) 이유 도리(道理)
래 일(來曰:) 내일 미래(未來)
ᅳ 16 ―


례의(禮儀) 예의
퇴성(雷聲) 뇌성
'사례(謝禮)
우뢰(雨雷)
어느 위치에서나 [근]음을 아니 내는
단어는 아니 내는 대로 적^다.
례; (갑을 취하고 을을 버린다)
제7항. 한자어 기원의 단어에서 모음
예〉가 들어 있는 음절로는《계》,《례》^
^혜》만을 인정한다.
ë¡€;
계산(計算) 계획(計割) 세계(世界)
례의(禮儀) 사례(謝禮) 례외(例外)
혜택(惠澤) 은혜(恩惠:)
따라서 《계》, 예 沖〉이외의 《세》,
^제》, 《체》,《폐》등은 각각 《세》,《제》,
《체》,《폐》등으로 적는다.
례; (갑을 취하고 을을 버 린다)
― 갑一 —I:
세계(世界) 세계
제도(制度) 체도
一갑ᅳ
노예(奴識)
예 속(識屬)
一읕
노례
례속
ᅳ 17 ―


체류(滞菌) 체류
폐회(閉會) 폐회
그터나 설揭》만은 본음 대로 설게늦로 적
는다.
ë¡€;
게시판(揭示板) 게재(揭载〕
제8항. 한자어 기원의 단어에서 모음
《ᅴ》가 들어 있는 음절로는 설회늦,《의》만
을 인정한다.
례; ‘
회의(會議) 희망(希望)
옥희(玉姬) 유회(遊戯)
의학(醫學) 의푀(意義)
제9 항. 한 형 태부 안의 두 음절 사아
에서 나는 된소리는 아래 음절의 첫소리
촐 된소리로 적는다.
례; (갑을 취하고 을을 버린다)
― 갑一 一을一
거꾸로 것구로
부썩 붓석
해쓱하다 햇즉하다
ᅳ 18 ―


깨굿하다
어깨
어떠하다
어찌
여쭈다
오빠
으듬
이 따금
한 형태 부
된소리를 내는
절의 첫소리를
햇 긋하다
앗기다
엇 개'
엇 더하다
엇지
엿주다
옷바
옷듬
잇다금
안에서 받침 《2》다음에
다음의 단어들도 아래 음
된소리로 적는다,
례; (갑을 취하고 을을 버런다)
一갑ᅳ
을―
말씀 말슴
벌써 벌서
그러나 토에 있어서는 비록 째근》다음에 된소리를
내더라도 아래 음절의 첫소리를 된소리로 적지 아니
한다.
례; (갑을 취하고 을을 버린다)
ᅳ갑ᅳ
ᅳ2수록
~己지라도
一을시다
ᅳ을一
ᅳ 已까
ᅳ已쑤록
— & 찌 라도
ᅳ을씨다


제10항. 한 형태부 안의 두 음절 사이
에서 나는 설칙음은《25》로 적는다。
례; (갑올 취하고 을을 버린다)
―갑ᅳ ᅳ올ᅳ
걸레 걸네
놀라다 놀나다
벌레 벌네
실룩^룩 실눅실눅
진달래 진달내
알락달락 알낙달낙
얼른 일는
'제11항..단어의 끝 또는 런발되지 譯
는 음의 앞에서 [기:!, [亡〕,[님:!로 발^
되더라도, 매개의 단어의 형태부를 고정
시키기 위하여 그 원형에 다라 받침을 바
로 잡아 적는다. 다만 [!그]로 발음되면서
도 원형을 밝힐 수 없는 것은 으로
적는다.
ë ˆ;
0 [기로 발음도1면서도 〈ᄀᄉ 에^ ^^ 다^
으로 갈라 적는 경우.
一막다 속 속웃
― 20 머“


^门》一밖 닦다
《크》一부엌 부엌안
넋없다
오) [디로 발음되3서도《ᄃ늦,《2늦, 《찌,
^ᄌ》,《ᄎ》으로 갈라 적는 경우.
《二》ᅳ남(穀) 낟알 맏(昆) 맏아들
《근^ᅳ낱(個) 팔
같다
알다
《八》ᅳ닛(鎌) 옷
벗다
《에ᅳ있다
심었다
빗다
가겠다
^八》ᅳ엊'(!한) 젖
늦다 짖다
《ᄎ》ᅳ꽃 꽃아래
괄 알
솟다
되였다
젖어미
받았^^
쫓다
3〉[이로 발음되면서도 《11^ 나으로 갈
라 적는 경우. 。
《님》ᅳ밥 톱
업다(負)
찍!^一무를 무릎아래
앞다(할) 짚다
《방》一값 값없다
없다(無)
― 21 머“


4〕[[기로 발음되면서도 눅ᄉ》으로 적는 경우.
뭇 첫 헛 덧저고리 핫옷
빗나가다 엇먹다 짓밟다
그릇 무릇 사뭇 일핏
걸핏하면 자첫하면 잘못하다 따뜻하다
벙긋벙긋 싱긋성긋
제12항. 현재 조선어에서 사용되고 있
는 받침을 전부 들고 그 례를 보이면: 다
음과 같다.
1 ᅳ국 늑 박 떡
막다 먹다 쩍다
I 一는 문 산
논다 신다 안다
、드곧(即) 남(穀) 만
걷'다(捲) 곧다 궁다 담다 동다
묻다 믿다 받다 뜯다 램다 얻다
II받침이 적당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오
늘날 ᄃ받침으로 표기되는 단어으I 례 ;
걸디ᅵ步) 경디- 김다 눌다
다닫다 닫다(走) 듣다 묻다(問)
붇다(殖:) 심다 깨닫다 일
컴다


ᄅ받침이 적당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오늘
날 ᄅ받참으로 표기되는 단어의 31 ;
갈다 걸다 길다 날다 놀다
달다 돌다 멀다 물다 밀다
벌다 불다 설다 잘다 질다
꿈 땀
남다 、담다 심다
딘一밥 집 탑 입
곱다(屈指) 굽다(曲) 잡다 좁다
집다 업다(負)
ᄇ받침이 적당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오늘
날 0받침으로 표기되는 단어의 례 도
곱다(挤) 굽다(燒) 깁다 놓다 덥다
둡다 밉디- 행다 쉽다 출다
乂一갓 낫 맛 벗 엿 옷
벗다 솟다 씻다 웃다
入밤침이 적당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오늘
날 人방침으로 표기되는 단어의 례 ;
긋다 낫디ᅵ癒,優) 붓다(注)
잣다(紛) 젓다(擾) 중다(拾)
짓다(作) 잇다(連)
6 一공 명 땅
그낮 빚 젖
갖다 궂다 낮다 늦다 맞다
맺다 부르젖다 빚다 짖다
― 23 머“


짖다 찾다 꽃다 꾸짖다
잊다
긋ᅳ갗 낯 맟 덪 돛 몇 빛
꽃 꽃 옻 音 쫓다 쫓다
크ᅳ넣 부엌
근ᅳ겉 낱 밑 밭 발 술 괄
끝 같다 맡다 밭다 붙다 얕다
고ᅳ높 宝 앞 옆 갚다 깊다 높다
헐다 싶다 짚다 무릎 형겊
言ᅳ:0 낳다 넣다 놓다 닿다 ‘좋다
땋다 빻다 쌓다 떻 다
2〕거떻다 길다랗다 깊다랗다
높다랗다 누렇다 둥그렇다
벌렇다 커다랗다 퍼렇다
허열다 이렇다
— 밖
겪다 낚다 닦다 묶다 톰다 섞다
슴다 깎다 쥐다 엮다
고ᅳ년 몫 삯
표ᅳ끼없다 앉다 얹다
년ᅳ귀찮다 화찮다 많다 점잖다
하찮다 끊다 끊다 언짢다
리ᅳ기슭 닭 홀
굴다 글다 늙다 맑다 昔다 밝다
붉다 얽다 읽다
― 24 머“


리一끔다 孟다 닭다 삶다 젊다 옮다
래ᅳ여 업 넓다 밟다 짧다 얇다
갔一골 들
斤ᅳ핥다 훑다
않一"&다 옳조리다
끊ᅳ곯다 앓다 싫다 끓다 끓다 씀다
앓다 옳다 잃다
밝ᅳ값 없다 맥없다 부질없다 시름없다
실없다 가엾다 ᄆ
从一겠다 았다 었다. 였다 있다
제13항. 어간이 《아, 어, 여》 또는
오, 었, 였》과 어우를 적에는 어간의 모
음의 성질에 다라 다음과 갈이 갈라 적
는디^
어 간의 모음이
!) ᄀ 는, 上, ^―’ 上一》인 졍우;
…아,았
2〕 《ᅱ, 극, ᅮ, ᅳ, 나 ᅳ, ᅮᅳ, ᅳᅳ,
I ᅳ》인 경우; … 어, 었
⑴ 《1 ’ 더, 나1. ᅬ, 丁1’ 니》인 경우
및 어간의 끝소리가《히^인 졍우; ᅳ여, 였
á…® 25 á…³


ë¡€;
0 ^아^ ^았&으로 적는 경우.
막다 막아 막았다
얇다 얇아 얇았다
오다 와 왔다
따르다 따라 따랐다
오르다 을라 올랐다
오)《어^ 석었노으로 적는 경우.
겪-다 겪어 겪었다
넣다 넣어 넣었다
두다 두어 두었다
크다 커 컸다
거르다 걸러 걸렀다
부르다 불러 불렀다
치르다 치러 치렀다
3〕국여^ 짜였》으로 적는 경우.
개다 개여 개였다
기다 기여 기였다
되다 되여 되였다
베다 베여 베였다
쥐다 쥐여 쥐였다
회다 회여 회였다
하다 하여 하였다
그러나 어간의 끝음절에 받침이 있율
경우에는 짜어^《었》으로 적는다.
ᅳ 26 一


길다 길어 길었다
맺다 맺어 맺었다
심다 심어 심었다
짓다 지어 지었다
잇다 이어 이었다
제14항. 개별적인 경우, 어간의 음이
줄어진 경우에는 음이 줄어진 대로 적되,
되도록 형태를 고정시키도록 받침을 바로
잡는다.
ë¡€;
ᅳ본말ᅳ ᅳ준말ᅳ
ê°–ê³ 
기 러 기 야 기력이
디디고 덤 고
미치고 및고
아기야 악아
어제그저께 그저께
어제저녁 옆저넉
제151ᄂ 개별적-인 경우, 어간과 토가
유착되여 음이 줄어진 때에는 음이 줄어
진 대로 적는다.
― 27 머“


말ᅳ
그것으로
그것이
나는
나를
너는
너를
무엇이
무엇을
ᅳ준말ᅳ
그걸로
그게
난
ë‚ 
ë…„
혁
무에
무얼
제16항, 프음으로 끝난 어간파 모음
토가 어우를ᅮ 적에, 각종의 모음 적응의
현상이 일어나,음이 줄어질 수 있는 때에
는, 음이 줄어진 대로 적는 것을 허용
한다.
뜨다 뜨이다 뜨이여 뜨이였다
뜨다 띄다 띄여 띄였다
쓰다 쓰이 다 쓰이 여 쓰이였다
쓰다 쬐다 씌여 씌였다
모이다 모이여 모이였다
모이다 되여 되였다
보이다 보이여 보이였다
보이다 뢰여 뢰였다
― 28 머“


고이다 고이여 고이였다
1괴다 괴여 괴였다
I꼬이다 꼬이여 끄이였다
1피다 꾀여 피였4
^쏘이다 쏘이여 쏘이였다
1쬐다 죄여 씩였다
^쪼이다 쪼이여 쪼이였다
(쬐다 쬐여 쬐였다
션)^가지다 가지여 가지였다
1가지다 가져 ‘ 가졌다
ᄉ오시다 오시여 오시였다
1오시다 오셔 오셨다
5〕^개다 개여서 개였다
\개다 개서 겟다
|되다 되여서 되였다
I되다 돼서 맸다
ᄉ메다 메여서 메였다
1메다 메서 멨다
ᄉ하다 하여서 하였다
1하다 해서 했다
다음의 경우에는 음이 줄어진 대로만 적는다.
0 담그다 담가 담갔다
잠그다 잠가 잠갔다
치르다 치러 치렀다
크다 커 컸다
― 29


따르다 따라 따랐다
쓰다 쩌 셌다
가다 가 ,갔다
사다 '사 샀다
서다 서 섰다
켜다 켜 켰다
제17항. 어갔의 끝음절《하》의 설^》가
줄어져 다음에 오는 자음 토를 세게 나게
할 때에는《궁》을 중간에 놓는 것을 원칙
으로 하고, 자음 토를 센소리로 적는 것
도 허용한다.
ᅳ본말一 一갑ᅳ ᅳ을ᅳ
가하다 가言다 가타
다정하다 다정궁다 다정타
례하건대 례궁건대 례컨대
정결하다 정결궁다 정결타
다음의 단어量은 항상 센소리로만 적는다.
결코 기어코 불피코 하마리면 요컨대
그러나 눅아니하[나가 棄어진 경우에는《않
다늦로 적는다,
30 ―


제 8 장
합 성 어 으ᅵ 표 기
제181ᄂ 합성어의 표기에 있어서는 어
음 동화 현상의 유무를 물론하고 두개의
어근을 따로다로 '밝히여 적는다.
례; ‘
1〕동호ᅡ 련상이 일어 나지 않는 경우.
! ) 자음과 자음 사이.
건잡다 국그릇 낮보다 낮잡다
눈물 돋보다 밤낮 밥벌이
꽃철 옷속
표) 자음과 모음 사이.
눈웃음, 물오르다 물오리 밤알
살일음 속없다 슥옷 손아귀
집안 철없다
그러나 어ᄅ이 분명하지 아니한 것은
그 원형을 밝히여 적지 싸니한다.
ë¡€:
며칠 오라버니 이틀
― 31 ―


2〕동화 현상이 일어 나는 경우.
0 자음파 자음 사이.
겁나다 겉늙다 국말이 굶주리다 몇날
밥물 빛나다 칼날 흙내 엎누르다
자음과 모음 사이.
값없다 몇、없다 무를아래 부엌안
젖어미 괄알 꽃아래 옷안 을오르다
포
제191ᄂ 합성어의 사이에 첫째번 어근
의 끝소리가 모음이나《二ᄂ 설5ᄂ 설口ᄂ
^스^인 때에 재래의 소위 《사이 入、소리
가 나는 것과, 둘째번 어근의 첫소리가
《야》, ^여ᄂ 《요〉, 《유》, 《이》인 때에
다시 구개음화한 [二]나 [근]가 나는 것
은 그 중간에《사이 표》( ’〕를 둔다.
1〕소위 석사이 ᄉ》소리가 나는 것.
ë¡€;
그몸,달 기,발 길,짐승 나루,배 날,짐승
낚시ᄌ대 내,물 담배,대 들,것 들,돌 들,보
들'숨 등,불 디 & 방아 뒤'간 문,간 물,것
발,새 보리,짚 불,길 배,전 손'둥
초,불 코,날 코ᄎ둥 움,집 일,군
2〕소위《사이 人》소리와 다시 구개음화한〔Iᅴ
― 32 머“


나 [리가 나는 것.
ë¡€;
겹,이불 공,일
담,요 들,일
밭'이랑 버들,잎
맛? 엿 홍 엿
앞; 이 마 어 금,이
3〕한자어로서 이에
표》를 들 수 있다.
ë¡€;
군’적 (郡的) 도,적(道的) 대가가(代廣)
리,과(理科) 수,.자(數字) 호,수(號數)
제20항. 합성1어의 사이에서 [님]나
[히가 보태진 것은 보태진 대로 다음과
같이 적는다.
ë¡€;
!) 맵쌀 좁쌀 잡쌀 햅쌀
2〕 마과람 머리카락 살코기 수캐
수람 휘파람 안팎 암캐 암탉
제211ᄂ 합성어의 사이에서 빠진 음은
빠진 대로 적는다.
낮,일 논,일 놋,요강
대ᄎ잎 물,약 밤,이줄
부^,일 배'개,잇 속,잎
편,責 홀;이불 꽃니!
옷,임자 이불기
준할 만한 경우에도《사이
ᅳ 33 ―


ë¡€;
겨우살이 다달이 마되 마소 모자라다
바느질 부나비 부넘기 부삽 부손
소나무 차돌 차조 따님 여닫이
제22항. 합성어에서 첫째번 어근의 끝
소리 [근]가 폐쇄음으로 된 것은《亡〉〉으로
적는다. ‘
ë¡€;
섣달 숨가락 이튿날


제 8 장
접두사와 어근의 표기
제231ᄂ 접두사와 어근이 결;합될 때
에는 접두사와 어근의 형태를 고정시켜
이를 따로다로 적는다,
ë¡€;
덧신 덧 저 고리 받누이 받아들 선잠
섭웃음 짓구기다 짓찧다 참 빗 참외
헛디디다 헛소리 홀아비 홀어미 엇먹다
엇젱
제24항. 접두사와 어근 사 이 에 도 제
19항에 준하여 복사이 표늦를 둔다. ‘
ë¡€;
덧,이 새,노랗다 시,누렇다 짓,이기다
헛,일 홀,이불 해,곡식 해,조
― 35 ―


제 5 장
어근피- 접이사의 표기
지125항. 자음은료 시작된 접미사가 어
곤과 결합될 때에는 원칙적으로 어근과
접미사의 형태를 고정시켜 이를 다로다로
적는다.
ë¡€;
0 새토운 단어를 파생시키는 접미사.
값지다 낚시 늙수그레하다 늙정이
3개. 부엌데 기 빛나다 홑지다 꽃답다
굴장 뜯게질 뜯적뜯적하다 밝죽얇죽하다
엎드리다 앞지르다 옆뎅이 옳조리다 잎사귀
2》동사의 사역 피동을 나타내는 접미사.
감기다
숨기다
안기다
긷히다
박히다
얽히다
담기다
끊기다
옮기다
닫히다
’밝히다
익히다
맡기다
뜯기다
웃기다
막히다
잡히다
입히다
벗기다
쫓기다
먹히다
앉히다
읽히다
3〉힘줌을 나타나|는 접口I사 ^치\
― 36 머“


놓치다 2치다 받치다 램치다
엎치다
4; 을용사를 동사높 만드는 접口1사 설는!》녀季^
궁히다 굽히다 궂히다 넓히디ᅳ
밝히다 젖히다 좁히다
갖추다 낮추다 늦추다 맞추다
크) 어근파 결합되여 동사 령용사署 만드는 접口I
사 1하늦.
급하다 속하다 착하미-
립럽하다 푹하다 딱하디ᅳ
똑똑하다 뜻하다 씩씩하다
은)《하다》가 붙어서 형용사로 되는 어간파 音합도|
여 부사를 만드는 접口I사
넉녁히 답답히 꾸준히 똑똑히
제26항. 둘받침의 어근과 접미사가 결
합되여 둘받침중의 한 소리가 나지 않는’
것은 나지 않는 대로 적는다.
골막하다 널다탈다 널직하다
말끔하다 말죽하다 말짱하다
실죽하다 할짝할짝하다 알작하다
골병 골탕 넙적다리
제27항。어근과 접미사가 결합되여 아
― 37 머“


주 다른 뜻은로 변합 것은 어근과 접미사
를 밝히여 적지 아니한다,
례;
거두다(收) 고치다(改)。 기르다(養)
념치(廣魚〕 도리디-(挟) 도리 깨(連挪〉
드리다(献) 만나다(逢) 미루다(轉拉)
바치다(納) ;부치다(寄送) 점잖다
코끼리(象) 이루다(成)
제28항^ 어근에 설브》가 .결합된 경우에
는 어근과 접미사를 구별하여 적지 아니
한다.
례 ; 가쁘다 기쁘다 나쁘다
미:표다 바.:^다 예쁘다
고프다 즐프다 아프다
제291ᄂ 모음으로 시작된 접미사가 어
근과 결합될 때에는 어근과 접미사를 다
로따로 밝히여 적는 경우와 밝히여 적지
않는 경우를 다음과 같이 정한다.
ᄀ) 어근과 접미사를 밝히여 적는 경우.
ë¡€; ^
형용사 또는 동사 어근에 붙어서 명사나 부사
― 38 머“


를 만드는 접미사《이》.
길이 깊이 높이 다듬이
맞이 미담이 별이 벼훑이
살림살이 손잡이 :쇠붙이 해돋이
땀받이
같이 궁이 길이 깊이
높이 많이 부질없이 실없이
적이 좋이
2〕명사의 어근에 붙어서 명사나 또는 부사를 만
드는 접미사 작이).
!) 륙손이 삼발이 세눈이 애꾸눈이
[!) 곳곳이 낱낱이 몫몫이 살살이
집 집 이
3) 령용사 또는 동사 어근에 붙어서 명사를 만드
:는 접미사《음^
걸음 물음 묶음 믿음
졸운 죽음(死) 풍갚음 일음
엮음 울음 웃음 잊음
각) 동사의 사역 피동을 나타내거나 령용사를 동사
로 만드는 접口I사 눅이》,작우》,《으키& 석이키^ 식애ᄂ
낚이디- 녹이다 높이다 ~
놓이다 닦이다 덮이다
먹 이 디- 박 이 다 속 이 디ᅳ
핥이다 깎이다 쌓이다
욱이다
― 39 머“


돋우다
일으키다 돌이키다
없애다
0 ^하다》가 붙어서 형용사로 되는 어근파 결합되
여 부사를 만드는 접미사《이뇨.
바특이 예^뭇이(토卒) 큼직이 못못이
끔적이 깨굿이 따뜻이 똑똑이 뚜렷이
6그 형용사를 만^는 접口|사 복없^
객없다 부질없다 시름없다
7〕어근에 1이뇨가 붙어서 3 동사의 접미사 파이ᄂ
번득이다 번쩍이다 속삭아다 움직이다
ᄂ) 어근과 접口1사를 밝히여 |:
적지 아니하는 경우.
례 ; ‘
0 령용사또는 동사의 어근에 자이^ 설음^이외의
접口!사가 書어서 명사나 부사로 된 것.
!) 귀머거리 마감 마개 마중
무덤 주검(屍) 코뚜레 까마귀
뜨더귀 쓰레 기 을가미
83 너무 도로 바투 비로소
자주 뜨덤뜨덤
23 명사의 어2에 《이》이외의 접미사가 붙어서
명사로 된 것.
나머지 모가지 바가지 바알 사타구니
지붕 지푸라기 꼬락서니 끄트머리


찌라기
33 놓용사의 어근에 접口1사 1은》이 붙어서 부사로
된 것、
거뭇거뭇 ᅮ불굿불굿 오긋오긋
4》의성ᅳ의태어에 접口|사 식이》가 붙어서 3사로
된 것.
!) 기러기 개구리 귀뚜라미 매미
피꼬리 쨍과리 딱따구리
!!) 누더기 :터퍼리 두드러기 무더기
칼싹두기 깍두기 떠버리 얼루기
53 ^하다》가 아니 붙는 형용사의 어근에 접미사
파이늦가 붙어서 명사나 부사로 된 것.
I3 동그라미 부스러기
(!) 갑자기 반드시(必) 술며시 일찌기
63 형용사의 어근에 접口I사《알,^ 또는 체업^이
붙어서 되였다고 보이는 것.
I》 가맣다 거떻다 노랗다 누렇다
동그랗다 둥그렇다 발갛다 벌찰다
파랗다 퍼렇다 싸느랗다 써느렇다
(!) 간지럽다 미덤다 부드럽다
시끄럽다 '징그럽다 어지럽다
제30항. 부사를 만드는 접미사 4이》와
^히》는 그 어느 하나로만 발음될 때에는
ᅳ 41 ―


그 발음 대로 적는다,
!) ^古^로 적는 것.
감히 극히 작히
으) ^이뇨로 적는 것. ^
너부죽이 적이 지긋이
큼직이 따뜻이 뚜렷이
제31항. 부사를 만드는 접미사가《이》
와《히》로 혼용되여 발음될 때에는 다음
과 같이 구별하여 적는다.
0 어3에 직접 예하[&를 붙일 수 있는 경우에는
^히늦로 적는다.
ë ˆ;
가지런히 外히 고요히 공손히 능히
덩덤히 도저히 마땅히 부지런히 분명히
속히 심히 자연히 족히 쾌히
튼튼히 흔히 꾸춘히 열혈히 열심히
오) 어근에 직접 싸하[化를 붙일 수 없는 경우에는
《이뇨로 적는다.
곰곰이 곳곳이 기어이 나날이
나란이 번번이 집집이 헛되이
일일이
― 42 머“


제 6 장
표준 발음법 및 표준
어와 관련된 철자법
제32항,〈0그누 또는 설근》으로 끝난 어
근 밑에 접미사 《이》또는《히》가 올 때
〈0〉,성5》이 구개음화하여 [ᄌ.],[국]에 가
깝게 발음되더라도《!그^^근》으르 적는다.
궁이[구지] 해돋이[해도지:!
걷히다[거치다]
묻히다[무치다]
쇠붙이[쇠부치]
땀받이[땀바지]
담히다[다치다]
같이[가치]
핥이디-[할치다]
제331ᄂ 뒤에
오는 모음《이》가 앞에
있는 모음에 영향을 주어 동화 현상이 일
어 날수 있더라도,본래의 모음을 그대르
적고, 적은 대로 발음한다.
례; (갑을 취하고 을을 퍼런다)
一갑一 一을一
고기 괴 기
나 43 ᅳ


말기다 멜기다
먹이다 멕 이 다
박히다 백 히 다
속이다 속1 이 다
숭기다 쉽’기다
잡히다 잽히다
아 비 ^ 애비
어미 에 미
지|34항。한자어에서 :), )) [국]
를 첫소리로 삼고,《ᅳ》를 가진 자음은
그 본음 대로 적는 것을 원칙으로 삼고,
I I :!로 변한 것 에 한하여 설 I》로 적는다.
0 《ᅳ》로 적는 것.
술하 습관 승리 즉시
증인 증거 측량 충계
?) 《 I》로 적는 것.
금실 ’ 질책 편집 법칙
원칙
제35항. 한자《不》은 본음은 [볼]이나
다음에 [亡], !:^]를 첫소리로 하는 자가
을 때에는 [專]로 발음되므로 그와 같이
― 44 머“


적는다.
ë¡€;
!) 부단(不斷) 부당(不當) 부도체(不導體)
부동(不動). 부득불(不得不) :
幻 부자연(不自然) 부적당(不適營)
부족(不足) ’ 부주의(不注意)
부지중(不知中)
제36항. 때에 따라 달리 발홈되는 한
자는 그 발음되는 대로 적는디\
노기(怒氣) 대로(大怒)
당분(德分) 사탕(砂糖:)
륙일(六曰) 튠월(六月)
백두산(白頭山) 배천(白川) 시
습득(拾得) 십원(拾圓) !
승강기(昇降機) 항복(降服)
승낙(承諾) 허락(薛語)
십일(十曰:) 시월(十月)
안녕(安寧) ‘ 재 령(載寧)
제37항. 한자어에서 두 모음 사이에서
《1》이 [균]로만 발음되는 것은 《근 參로
적고, 《2》이, [!- ᅴ로만 발음되는 것은
ᅳ》으로 적는다.
― 45 머“


례; (갑을 취하고 을을 버 탄다)
一갑一 一을一
0 대로(ᄎ怒) 대노
허락(許諾) 허낙
화령(會寧) 회녕,
幻 의논(議論) 의론
저138항. 한자어에서 두 모음 사이에서
《느》이 [근]로도 발음되는 일이 있을지라
도 그것을 본음 대로 적는다.
례; (갑을 취하고 을을 버 탄다)
ᅳ갑~ 一을ᅳ
기념(記念) 기럼
기능(技能) 기롱
제39항. 한자음이 련발될 때에 《二
노》을 [근 근]로 발음하거나 &》을
[근 근]로 ᄉ발음하거나 또는 《2 니》을
〔2 2〕로 발음하는 일이 있을지라도, 이
를 본음 대로 적는다.
례; (갑을 취하고 을을 버 린디^
― 갑一 一을 一
!) 곤난(困難) 골탄
― 46 머“


관념(觀念) 괄럼
만년(萬年) 말련
관리(管理) 괄리
련락(連絡:) 렬락
론리(論理) 를리
전라도(全羅道) 절라도
3〕 말년(末年) 말련
발노(發怒) 발로
제40항. 다음의 한자어들은 발음과 표
기상 주의를 요한짝.
(갑을 취하고을을 버린다)
ᅳ갑ᅳ ᅳ을一
干濃地 간석 지 간사지
擾亂 교 란 각란
句讀點 구두점 구득점
茶葉 다과 차과
撞着 당착 동착
挑發 도발 조발
變更 변경 헌갱
便所 ‘ 변소 편소
復興 부흥 복흥
不眠症 불면증 불민중
沸騰 비등 불둥
使職 사촉 사수
47 ―


부
ë ¹
사
술
위
급 준략 조 진속북각진활약류절 곡0
삭 시성선취 포패취회역난 오-일의.^
7〈11411ᄂ종래에 표준어로인정되던 단어
들 가운데서 우선 다음과 갈이 수정한다.
《놀》을 식노을》로
^눈추리》를 복눈초리》로
《달을 《닭알》로
!도둑》을 싹도적》으로
《부수다(碎^를 복부시 다》로
^쇠고기》를 《소고기》로
접미사《장이》를 《쟁이》로
수
^ 위
급사략척진착배각신.할약유체곡
소시생세추포 패후희역연오 일외헤
及唆略雕進捉北覺爐割弱霧했대戊
適示省洗推捕敗鳴灰ᅳ役軟誤) 歪衞
― 48 머“


^줄다(拾^를
^태나디^를
《아내》를
^외 치
눅위(上)》를
《원수(怨醫^를
^줏다늦로
^태여나다》로
^안해^로
식해치다》로
^우》로
제원쑤》로
제42항, 명사
《우》와
접두사
《웃〉X
명
사 설예》와 접두사《옛〉〉을 구별하여 사용
한다. “
명사一우에서
접두사一웃마을
웃어른
명사ᅳ예로부터
접두사一옛날
우로부터
웃사람 웃저고리
웃옷 웃,이
옛말
이 야기
제43항. 종래《어》로 적던 다음의 단
어들을《여》르 적는다.
제구태어》를 ^구태여》로
^도리어》를
^드디어》를
석헤어지디^를
^헤엄치디^를
그러나
^도리여》로
석드디여》로
^헤여지다》로
^헤염치다》로
ᅳ 49 ―


^기어코(期於:)& 넣기어 이》는 그대로 둔다.
제44항. 과거의 반복된 행동을 나타내
는 토로는 성군》을 인정하고,영탄의 뜻을
나타내는 토로는〈구나》를 인정한다,
(갑울 취하고 을考 버린다)
“ I "종~ I
!) 가군 하였다 가곤 하였다
!!) 가는구나(가는군) 가는고나
― 50 머“


제 2 장
띄 여 쓰 기
제45항. 단어는 각각 띄여 쓰되 토는
웃말에 붙이여 쓴다.
례 ; 우리는 자기의 언어와 자기의 조국을 사랑한다.
제46항. 어근에 직접, 또는 어근 다음
에 토《아,어,여》가 들어 가고 《하다》가
붙은 것은 띄여 쓰지 않는다,
례; (갑을 취하고 을을 버린다)
一갑一 一을一
건설하다 ‘ 건설 하다
공부하^V 공부 하다
반듯하다 반듯 하다
부지런하다 부지런 하다
사랑하다 1사랑 하다
술퍼하다 즐퍼 하다
좋아하다 좋아 하다
착하다 착 하다
― 51 ―


튼튼하다
일하다
그러나 어근
외의 토가 들어
ë¡€;
건설을 하디
공부를 하口
4 반듯은 하디
부지런도 하다
술퍼도 하디
좋아도 하
튼튼도 하-
일을 하다
튼튼 하다
일 하다
다음에 《아, 어, 여^ 이
갈 때에는의여 쓴다.
ê°€
제47항. 어근에
붙은 것은 띄여
직접 ^되다ᄂ《시키다》
쓰지 않는다.
례; (갑을 취하고 을을 버 린다)
ᅳ갑“- ―을ᅳ
공부되다 공부 되다
운동되다 운동 되다
일되 이- 일 되다
공부시 키 다 공부 시키다
운동시키다 운동 시키다
일시 키 다 일 시키다
― 52 머“


건방 지다
그늘 지나
걸 방지 다
쵸늘여다
기름지다
넘 어 지 다
눈물지다
늘어지다
모지다
추워지다
풀어지다
떨어지다
엎어지다
그러나 어곤 다음에 토가 들어 갈 때
에는 띄여 쓴다.
공부가 되다
I 1 ‘ ‘
윤동도 되4
일이 과다”
공부를 시키다 1
운동도 시키다
일을 시키다 6
제48항. 어근에 직접, 또는 어근 다음
에 토 성이., 어, 여^가 들어 가고《지다》
가 붙은 것은 띄여 쓰지 않는다.
레; (갑을 취하고 을을 버 린디^
ᅳ갑ᅳ 一을ᅳ
14바바]^ᅡ바 따바]^
지지지 지다 지 지지 7시
름 어물어^워 어어어
기 넘 눈 늘 모 추 풀 떨 엎
― 53 머“


외지다 외 지다
그러나 어근 다음에 설아,어,여》이
외의 토가 들어 갈 때에는 되여 쓴다.
ë¡€;
그늘이 지다
기름이 지다
눈물이 지다' ^
해 가 지 다
제491ᄂ《아니하다》, 설못하다》는 앞에
설…지》가 있는 경우에는 붙아여 쓰고,그
이외의 경우에는 띄며 쓴다.
í—¤;
0 붙이여 쓰^ 경우.
놀지를 아니한다.
눈이 밝지 못하다.
책을 읽지 아니한다.
앉지를 못한다.
2그 뜨|여 쓰는 경우.
그 동무는 일을 아니 한다.
그래도 운동이야 못.하리.
그 사람은 노래도 못 한다.
― 54


제501ᄂ 의성-의태어에서 반복되는 두.
개의 어근은 띄여 쓰지 않는다.
ë¡€;
너울너울
둥실둥실
번찍번쩍
술적줄적
허비적허비적
꿈지 력꿈지 력
뗑맹
뾰족뾰족
어줄렁어즐렁
을공을공
제51항. 여리개의 단어로 이루어진 모
유 명사는 단어마다 띄여 쓴다,
ë¡€;
로동 신문
삼국 유사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제일 인민 학교
평양 사범 대학
제52항. 다음과 같은 고유 명사는 확
’여 쓰지 않는다.
― 55 머“


ë¡€ ï¼›
금강산 今합산
부전호 바이칼호
강원도 힘경북도
순안융 성내리
금강 돈강
황해 지중해
제주도 대동군
저153항0 사람의 성과 이름은 띄여 쓴
9’ 포
다.
ë¡€;
김 일성
ê¹€ ì±…
피 순신
을지 문덕
저154함. 년월일은 해와 달과 날을 각
각 단위로 하여 띄여 쓴다,
“ 례 ;
19식50 15^
11)50년 6월 25일
제551ᄂ 한자어
^다음과 같이 접두사
封는 것은 띄여 쓰지,
기원의 단어들에서
또는 접미사로 인정
않는다.
례; (갑을 취하고 을을 버린다)
― 57


3
1.-
ᅳ갑ᅭ ―을一
각급 각 급
경공업 경 공업
무혜임 무책임
째개 깨. 개
4과학적 반 과학적
비인간적 비 인간적
중공업 중 공업
총공격 총 공격
2〕과학원
맑쓰주의
민주주의
사무국
전기화
ì¡°ì„ ì–´
연구소
그러나 다음과
는 것은 띄 여 쓰고, 접미사에
인정되는 것은 붙이여 쓴다,
례; (갑을 취하고 을을 버린다)
— 갑一 一을一
!) 각 대학 각대학
메 공장 매공장
전 인민적 전인민적
과학 원
맑쓰 주의
민주 주외
사무 국
‘ 전기화
조선 이
연구 소
같이 관형사로 인정 쾨
준한다고
― 57


제 문제 제문제
공산당 공산 당
금일중 금일 중
량국간 량국 간
력사상 력사 상


제 8 장
문장 부호
제56항, 문장에 쓰는 부호는 대략 다
음과 갈이 정한다. ‘
그. 점 ᅳ 一문장이 끝남을 보일’ 때 또는 략자,략어
임을 보일 때 쫀다.
^ 두점 :一한 문장이 대체로 끝나면서, 뒤에 오
는 문장이 앞에 있는 문장의 설명으
로 될 때 쓴다. ‘
3,반점,一의미가 중단되여 읽을 때 잠간 쉬는
것이 좋을 때 쓴디\
^ 반두점 ; 一의미가 중단되는 곳에서 반점과 구
별하여 표시하는 것이 적당할 때
쓴다.
의문표 ?ᅳ의문의 뜻을 나타널 때 그 말의 다
^에 쓴다.
^ 감탄표 ! ᅳ감탄의 뜻을 나타멀 때 그 말의 다
음에 쓴다.
7# 인용표 설》ᅳ다른 말을 따다가 쓰는 데 그 말
의ᅭ앞뒤에 갈라서 쓴다.」
― 59 ―


8,거昏 인塞표 〈〉ᅳ다른 말을 따다가 쓰는 데
그 안에 또다시 따온 말이 있을 때
그 앞뒤에 갈라서 쓴다.
9, 찌례--합성된 단어에 그 구성 부분을 보
이기 위하여 또는 한 단어를 두줄
에 걸쳐 적을 때 쓴다.
10. 점선… ᅳ서술이 중단되거나 생략되였음을
보일 때 쓴다.
11. 智호 (: 〕, 《 》,[ :I,〈 》ᅳ어면 부분을
한 덩어리로 묶을 때 이들을 각각
적당히 쓴다.
― 60 머“


조선어 철자법
용례 색인
ᅳ용 례ᅳ
ê°€
가겠^]ᅳ
X가亏 하였다 4 가군 하였다
가온 하였다
X 가는고나 ᅳ 기.는구나
가는우나(가는군)
가니
가다
기르고
가르다
가르지
가맣다
가시니
가져
가졌다
가지 고
가지다
― 01 머“
합수 페지수
16 30
11 21
44 50
44 50
44 50
44 50
4 12
10 30
4 15
4 15
4 15
20 41
4 12
10 29
16 29
14 27
10’ 29


다
며 기
갈 감
31 42
16 29
16 29
32 43
17 30
17 30
17 30
^ 31 42
23 38
12 25
4 12
55 57
55 57
55 57
55 57
40 47
40 47
40 47
29 41
4 12
4ï¼› 1ì • 12ï¼› 23
4 15
4 15
4 15
4 12
25 36
“1
가지런히
가지 여
가지였다
같이
각급
학ᅳ각 대학
í•™
급
3í—˜
대
ᅳ 다다다 다
치,타 궁 하 히 쁘 엾 오 급 -1 대
가。가 가가 가가 가가 각각 각각
X X X
X 각란 ᅳ교란(擾亂)
X간사지 4간석지(干濃地)
0
간석지(干濃地)
간지럽다
갈고
갈다
갈라
갈탔다
갈리다
62 ―


ê°’
1 갔다
거두다(收.)
거르다
거머니
거 머 랴
도 다
원고 다추
강갖 갖갖 잦
30 42
4 12
29 41
25 36
18 21ï¼›32
2 9
2 9
2 9
12 23
52 56
14 27
12 23
25 37
12 24
2 9
12 9,21,24
2 9
32 10, 39ï¼›43
12 24
12 21,25
16 30
27 33
13 26
4 13
4 13
같고
같아
갈이(같게 : 함께)
갚다
다기 다다
히니자 지없 을이에.
감 갑갑값값값값값갓
63


거머면 4 13
거머오 4 13
가업니다 4 13
거떻고 4 13
거떻다 4,12; 29 13; 24; 41
거떻지 4 13
거믓거뭇 ‘ 29 41
거 매 지 다 4 13
진다ᅮ걷히다 32 43
^우듯 0 18
건방지다 48 53
X건방 지다ᅳ건방지다 48 53
건설하다 40 51
X 건설 하다—건설하다 40 51
건설을 하다 46 52
ê±·ê³  4 14
건다(步) 4; 12 14,22
걷다(捲) 12 22
걷잡다 18 31
걷지 4 14
걷히다 25; 32 36; 43
X걸네—걸테 10 20
걸4 12 23
걸려 13 26
걸렀다 13 26
一 64 뼈


걸레 10 20
걸핏하면 11 22
질어 4 14
걸으니 4 14
걸음 29 39
겁나다 18 32
X것구로 ᅳ거꾸로 9 33
4 # 12 24
겉늙다 18 32
겨우살이 21 34
결다 12 22
ê²°ì½” 17 30
겹'이불 19 33
경공업 55 57
X경 공업 —경공업 55 57
겪디ᅳ 12; 13 24,26
겪어 13 26
겪었더- 13 26
고기 33 4ᄌ
고루(高樓) 6 16
고치다(改) 27 38
고 31 다 28 38
고요히 31 42
고이다 16 29
고이 여 16 29
― 65 ―


á„€
고이였다
곤난(困難)
곧(即)
곧다
X!:향 ᅳ곤난(困難:)
흘^하다 빠
골병
골탕
곪다
골
곬을
글이
곬에
곯다
ê³°
곰곰이
곱다(挤)
곱디'(屈指)
곳곳이
ê³µ
공부가 되다
공부되다
X공부 되다 —공부되다
공부를 시키다
공부를 하다
16 29
30 46
12 22
12 22
39 46
26 37
26 37
26 37
12 25
12 25
2 9
2 9
2 9
12 25
1ì • 23
31 42
12 23
12 23
29ï¼› 31 39ï¼›42
12 23
47 53
47 52
47 52
47 53
46 52
― 6‘8 "버


37
39 ?43
24
25
32
공부시키다 47
X공부 시키다 ᅳ공부시키다 47
공부하다 새
X공부 하다 ᅮ공부하다 새
공산당 55
X 공산 당 —공산당 55
공손히 31
공,일 내
교탄(擾亂) 40
X구국점 ―구두점(句讀點) 파
X구4점(句讀點) 씨
구롱(丘陵) 6
X구지 〜궁이 32
X우^어 ᅳ,구태여 43
구태측 43
êµ­ 12
국그릇 18
국말이 18
군,적(郡的) 19
궁다 12
굴히다 25
궁이 29,32
굵다 12
孟다 12
孟주리다 18
2 2 1 1 8 8 2 3 7 7 7 6 3 9 9 21232
5 5 5 5 5 5 4 3 4 4 414 4 4233 32
― 67 ―


á„€
굽다(曲) 12 23
굽다(燒) 12 23
굽히다 25 37
궂다 12 23
궂히다 25 37
그걸로 ‘ 15 28
그것으로 15 28
그것이 15 28
그게 15 28
그늘지다 48 53
X그늘 지다 ᅳ그늘지다 48 53
그릇 11 22
그몸,달 19 32
극히 30 42
근로(勤勞) 6 16
글다 12 24
금강 52 56
금강산 52 56
금실 34 44
금일중 55 58
X금일 중 ―금일중 55 58
급하다 25 37
긋다 12 23
기념(記念) 38 46
기능(技能) 38 46
― 68 ―


기다
기러기
기려기야
기력아
X기럼 ᅮ기념(記念)
기르고
기르다(養)
기르지
기름지다
X 기름 지다 —기름지다
기름이 자다
X기통 ―기능(技能)
0
기어코
기어이
기여
기였다
겅다
길
길다
길다랗다
길러
길렀다
번"하 69
1
13 26
29 41
14 27
14 27
38 46
4 15
4; 27’ 15^ 38
4 15
48 53
48 53
48 54
38 46
19 32
12 24
28 38
17ï¼› 43 30^ 50
31,43 42?50
13 26
13 20
12 22
12 22
12ï¼› 13 23,27
12 24
4 15
4 15
;발스4
기기기


길리다 4 15
길-짐승 19 32
길어 13 27
길었다 13 27
길이 29 39
김 일성 후 53 56
ê¹€ ì±… 53 56
집다 12 23
깊다 12 24
깊다람다 12 24
깊이 29 39
개구리 29 41
개다 13,16 26,29
개량(改良) 6 16
개서 16 29
개여 13 26
개여서 16 29
개였다 13; 16 26,29
객없다 29 40
겠다 16 29
게시판(揭示板) 7 18
게재(揭載) 7 18
겠다 12 25
계산(計算) 7 17
계획(計劃) 7 17


X피기 ᅳ고기
參
괴다
ê´´ì—¬
괴였다
귀머거타
귀 찮다
귀뚜라이
과학원
X과학 원 ᅳ과학원
관념(觀念)
X관! ―관념(觀念)
관^(管理)
X:!리 〜관리(管理)
4참다
나날이
나는
나탄이
나루,배
나를
나머 지
나 타 나 다
나쁘다
나아
나으니
X 낙원 〜락원(樂園)
眷
1339卯 的 犯 0707428228018336
4 2 2 2 42 4 5 5 4 4 4 4 24 2 4 3 2 4 13 ^ 1 ^
33
16
16
16
29
12
29
55
55
30
39
39
12
31
15
31
19
15
29
3
28
4
4
6
― 71 ~


15 28
40 48
11 21
11 21
12ï¼› 15 22,28
12 23
19 32
5 16
12 23
12 23
11 21
4 13
4 13
12 23
4 13
11ï¼› 12 21,23
12 23
18 31
18 31
25 2 37 8
2 2 8 8
19 33
12 24

å¼±
ì—°
나 가^
약 激알
女
스。男
다:침 바 다
鎌:
船
液 다다다
교다다지^다보잡추에을이
일
1」 , V ^ 0 그 ᄃᄐ ᄌ Vᄂ ᄃ^지-!VI 어 二포 6
난 난。낟 남 날 날 날 남 남 낫 낫 낫 낫 낫 낫 낮 낮 낮 낮 낮 낮 낮 낮 資 낯
X
^ 72 ―


날(個) 11; 12 21; 24
날낱이 29 39
낳다 12 24
낚다 12 24
낚시 25 36
낚시,대 19 32
낚이다 29 39
너는 15 28
너를 15 28
너무 29 40
너부죽이 30 42
너울너울 50 55
넉넉히 25 37
ë„‹ 12 24
년없다 11; 18 21,32
ë…„ 15 28
널 15 28
널다닿다 26 37
널직하다 26 37
ë„“ê³  2 10
넓다 2; 12 10,25
넓히다 25 37
ë„“ì–´ 2 10
넘고 2 9
ᅳ 73 ―


넘다 2 9
넘어 2 9
넘어 가다 3 10
넘어지다 3; 48 11,53
X넘어 지디ᅵ —넘어지다 48 53
넙적다리 26 37
넙치.(廣魚:) 27 38
넣다 12; 13 24,26
넣어 13 26
넣었다 13 26
며 자(女子) 、5 16
녕변(寧邊) 5 16
ë„£ 12 24
노기(怒氣) 36 45
X능동 —로동(勞動) 6 16
^닿다 29 41
X노천 ―노예(奴謙;) 6 17
노크1〔奴謙:) 6 17
노을 41 48
ë…¹ 22 22
^이!牛 29 39
는 12 22
논다 12 22
논,일 19 33
X놀 ᅮ노을 41 48
― 74 ―


á„‚
:놀^다 ᅳ놀라다 10 20
놀육 12 23
놀라다 10; 20
놋,요강 19 33
높고 2 9
높다 2,12 9,24
높다랗다 12 24
높아 3 9
높이 2와 39
높이다 29 39
놓다 12 24
놓이다 29 39
뇨도(尿道) 5 16
궁각 〜루각(樓閣) 0 16
터기 29 41
누렇다 12; 29 24;41
누르고 4 15
누르다(黃) 4 15
누르러 4 15
누르렀다 4 15
누르지 4 15
눈물 18 31
눈물지다 48 53
눈물 지다 ᅳ눈물지다 48 53
눈물이 지다 48 54
~ 75 á…®


눈초리
표눈추리 ―눈초리
눌다
놓다 ^ ‘
뉴대(紐帶)
늘어지디^ (길게 되다,
기운이 줄어지다)
X늘어 지다—늘어지다
늙고
늙다
늙수그레하다
늙정이
늙어
묘—릉묘(陵墓)
홍히
늦다
늦추다
5탄(泥炭)
ë‚´^!:
X내일 ―태일(來日)
ᄒ성 —뢰성(雷聲)
옥과(茶果)
다담다
다달이
41 48
41 48 “
18 31
12 22
12 23
5 16
3,48 10ï¼›53
48 53
2 9
2,12 9,24
25 36
25 36
2 9
6 16
31 42
11,12 21^23
25 37
12 24
5 16
19 32、
6 16
6 17
40 47
12 22
21 34
^ 76 ―


ᄐ
29 39
30
17 30
17 30
32 ᄇ 43
많 22
12 22
25ï¼› 32 36ï¼› 43
41 48
12 23
12 24
41 48
12 25
12 25
16 29
16 29
16 29
25 36
12 23
19 32
19 33
25 37
36 45
40 47
12 24
다듬이
다정 타
다정 言다
다정하다
X다치다 ᅮ담히다
定
닭알
여다 ᅳ 다다다
다다히가증다 알다다가갔 그 기다
담.담닫 달。달 닭 닭 닮 닳담담 담담담
X
담배,대
담,요
답답히
당분(糖分)
당착(撞着)


‘ 닿다 12 22
닦다 11; 12 21,24
닦이다 29 39
더불어 3 10
더퍼리 ^ 29 41
덤 덤 히 31 42
덥다 12 23
덧신 23 35
덧저고리 11,23 22; 35
이 24 35
몇 12 24
@개 25 36
2다 12 23
3치다 25 37
덮이다 29 39
X도둑 —도적 41 48
도로 29 40
도리(道理) 6 16
도리다(狭) 27 38
도리깨(連4加) 27 38
X도리어 —도리여 43 49
ᅳ도리^ 43 49
도발(挑發;) 40 47
도시니 4 12
도저히 31 42
― 76


!!!
도적 41 48
도,적(道的) 19 33
도오 4 12
도우니 4 14
도니 4 12
도와 4 14
:돈강 52 56
돋다 12 22
돋보다 18 31
돋우다 29 40
돌 12 22
돌고 4 12
돌다 4,12 12;23
돌며 4 12
둘아 가다 (기계가 돌아 가다.
집으로 돌아 가다. 즉다:) 3 10
돌이키다 29 40
들 12 25
들고 4 14
듭니다 4 12
듕다 4,12 14,23
듭지 4 14
동그라미 29 41
동그랗다 29 41
X동착 ^당착(撞着) 40 47
9
― 79 ᅩ


돛 12 24
두다 13 26
두드려기 29 41
두어 13 26
두었다 ᄉ 13 26
둥그렇다 12,29 24; 41
둥실둥실 50 55
X 드디어 "마드디 여 43 49
43 49
드러나다 (발각되다) 1 3 11
드리다(献) 27 38
듣고 4 14
듣다 4; 12 14; 22
듣지 4 14
ê·¸^ 12 22
들' 것 19 32
들-돌 19 32
들,보 19 32
들,숨 19 32
들어 4 14
들어 가다 3 10
들으니 4 14
들,일 19 ‘ 33
둥’불 19 82
ë”” ë”” ê³  14 27
― 80 ―


I[:〜2
디딜,방아 19 32
딛고 14 27
대;가(代價) 19 33
X대능 〜대로(ᄎ怒:) 37 46
대^군 52 56
대로(大怒) 36,37 45; 46
대- 잎 19 33
되다 13; 16 26,29
되여 13 26
되여서 16 29
되였다 : 11,13; 16 21; 26; 29
#ê°„ 19 32
패서 、 16 29
했다 16 ᅳ 29
ᅳ己가[토] 9 19
ᅳ己수록[토] 9 19
ᅳ5 지 라도!;토;] 9 19
Xᅳ&까!;토] 아ᅳ& 가 9 19
X— &4록[토〕―ᅳ已수록 9 19
X— 己찌라도[토] ᅳ!ᅳ"己지라도 9 19
락원(樂園) 6 16
량국간 55 53
X량국 간 ᅮ량국간 55 58
량심(良心) 6 16
력사(歷史) 6 16
― 81 ―


á„…
력사상 55 58
X 력사상 ᅳ력사상 55 58
련락(連絡3 39 47
X 열락 -련락(連絡〕 39 47
!동(勞動) 부 ^ 6 16
로동 신문 51 55
론리(論理) 39 47
X考리 ^론리(論理) 39 47
!금(料金) 6 16
루각(樓閣) 6 16
류학(留學) ‘ 6 16
류월(:六月) 36 45
륙손이 ‘ “ 29 39
륙일(六日) 36 45
릉묘(陵墓) 6 16
리'과(理科) 19 33
리력(履歷〕 6 16
리 순신 53 56
리유(理由) 6 16
레일(來曰) 6 16
X려.1속 〜예속(線屬) 6 17
려크컨대 17 30
례궁건대 17 30
례하건대 17 30
례 외 (例外) 7 17
― 82 ―


ᄅ〜0
례의(禮儀) # 6,7 17
뢰성(雷聲5 # 6、 17
마감 29 40
마개 29 40
마되 21 34
마소 21 34
마저(그 동무마저) 3 11
마중 29 40
마파람 20 33
마땅히 31 42
막다 12; 13 22,26
막히다 25 36
막아 | 13 26
막았^ 13 26
만나디(逢) 27 38
만년(萬年) 39 47
많고 2 9
많다 2; 12 9,24
많아 2 9
많이 29 39
맏(昆) 11 21
맏누이 23 35
맏아들 11; 23 21;35
받을 2 8
받이 2 8
ᅳ 83 번


0
밥에 2 8
말년(末年) 39 47
X말, ―말년(末年) 39 47
X분출 ᅳ민:년스萬年〕 39 47
읕:숙암아 ‘ 3 10
X말슴 ᅳ말씀 9 19
말4하다 26 37
말죽하다 26 37
말씀 9 19
맑다 12 24
맑쓰주의 55 57
X맑쓰 주의 ―맑쓰주의 55 57
말짱하다 26 “ 37
맛 12 23
맞다 12 23
맞추다 25 37
맞이 29 39
말기다 25; 33 36; 44
말다 “ 12 24
머리카락 20 33
먹고 2 9
먹다 2; 12 9,22
먹히다 25 36
먹어 2 9
먹이다 29; 33 39,44
― 84 ―



12 23
18 ï¼›! 31
12 ’ 24
18 32
29 40
21 34
48 53
48 53
16 28
16 28
16 28
12 24
29 39
29 41
29 40
11 22
11 21
18 21ï¼› 32
55 57
55 57
32 43
15 28
15 28
15 28
15 28
85
다
ì¹ 
ë‚ 
가지
ë©€
ë©°
몇
몇
모
모자라다
모지다
X모 지다
모이다
모이여
모이였다
몫
몫몫이
무더기
무덤
무릇
무를
무5아래
무책임
X무책임 ᅳ무책임
웁히다
치다
X予
후일
무엇을
무엇이
무에


므ᅳᅳ
문; 간
문고
묻다
묻다(問)、
물지 후
묻히다
물
물, 것
물다
물,약
물어
물오르다
물오리
물으니
물음
昔다
ë­‡
묶다
묶음
미닫이
미덥다
미루다 (轉蛇)
미 래 (未來)
미치고
― 86
22
32
14
14ï¼› 22
22
14
43
0씨 2334 1 1 4 9 4 2 4 9
2323133132223
39
41
38
16
27
12
19
4
12
12

^ 2 9 2 ^ 4 8 8 4921 2 99976 4
3 1 1 1 1 11 2 1112222 1


및고
매개
X 매 개 ᅳ 매 개
매 공장
X 매공장 ᅮ매 공장
매미
메우니
매워
맥없다
맵고
법다
맵지
맺다
맺어
맺었다
X 맬기다 ᅳ맡기다
미쁘다
민주주의
X 민주 주의 ᅮ민주주의
ᄆ
28 38
55 57
55 57
2 9
込 12 9,22
2 9
29 39
12 23
14 27
12 24
55 57
55 57
65 57
55 57
29 41
4 4 14 14
장 12 25
4 14
4,12 14,23
4 14
12,13 23; 27
13 27
13 27
33 44
고 다어 음다
^ ^ ^ 믿 회미;0
一 87


ᅮ먹이이
ᄆ〜0
바느질
바라보다
바라지디' (가로 퍼지다)
바치다(納)
바투
바톡이
바알
ᅪᅡ
바이 칼호
ë°•
박히다
박이다
반과학적
X반 과학적 ᅳ반과학적
반드시(必)
16 29
16 29
16 29
16 29
33 44
20 33
16 29
10 28
16 28
29 40
21 34
3 11
3 11
27 38
29 40
29 40
29 40
28 38
52 56
12 22
33 36,44
29 39
55 57
55 57
29 41
서다 다
다서 여였이
메 메 메메 멕
X
멜 쌀
맸다
되여
되"였다
ᅪ7!ᆻ]
88 ―


0
X 반듯 하다 ᅳ반듯하다 46 51
반듯하다 46 51
반듯은 하다 40 52
반듯이(正平) 29 40
받다 12 22
받치다 25 37
받았다 11 21
1 발갛다 29 41
발노(發怒) 39 47
X발투 ―발노(發怒) 39 47
발ᄌ새 19 32
밝다 12 24
밝히다 25 35
밟다 12 25
밤낮 18 31
131-61- 18 31
밤을 2 8
밤이 2 8
밤,이술 19 33
밤에 2 8
ë°¥ 11 21
밥물 18 32
밥벌이 18 31
ë°­ 12 24
밭다 12 24
― 89 ―


레 써 한
벌 벌 ᅡ
짜 ᅳ妒 다
네^다레 서.써어이킴- 기다
벌벌벌벌 벌벌 벌 법 벗 벗 벗
X X 、
二ᄇ
밭을
밭이
밭,이 랑
밭에
ë°–
밖을
밖이
밖에 (바깥에;
버들? 잎
번득이다‘
번번이
2 9
2 9
19 33
2 9
11 21
2 9
2 9
그것이의에) 2,3 9,10
19 33
20 40
31 42
50 55
29 40
12,29 24,41
10 20
12 23
10 20
9 19
9 19
3 11
29 39
34 44
12 23
25 36
11,12 21,23
쩍 다
번이다
쩍 쩍 렇
번 번 벌
― 90 ―


ᄇ
벙긋벙긋
벼훑이
변경(變更)
변소(便所)
X변갱 ―변경(變更)
書
^류(保留)
보리-짚 “
보이다
보이여
보이였다
X중흥 〜부흥(復興)
흘다
부나비
부넘기
부니
부단(不斷)
부당(不當)
부도체(不導體)
부동(不動)
부드럽다
부득불(不得不)
부러지다
부르다
부르짖다
22
39
47
47
7462888744 425 5 5
4213 222 4233 1444
45
41
45
11
26
23
11
29
40
40
40
12
6
19
16
16
16
40
12
21
21
4
35
35
35
35
29
35
3
23
12
― 91 ―


ë…„
부삽
부손
X부ᅮ다 ᅳ부시다
부1러기
부시니
부시다(碎)
부자연(不自然)
부적당(不適當)
부전호
부족(不坦)
부주의(不注意)
부지런도 하다
부지런하다
X부지런 하다 ᅳ부지런하다
부지런히
부지중(不知中)
부질없다
부질없이
부치디乂寄送)
부터 (오늘부러)
부흥(復興)
부썩
부엌
부엌데기
부엌안
21 34
21 34
41 48
29 41
4 12
41 48
35 45
35 45
52 56
35 45
35 45
46 52
46 51
46 51
31 42
35 45
12ï¼› 29 25ï¼› 40
29 ’40
27 38
ì • 11
40 47
9 18
11,12 21; 24
25 ì• 
11,18 21 32
― 92 ―


번
부엌을
부엌 이
부엌,일
부엌에
부오
분명히
욥다(殖)
불
불거지다 (겉으로 쑥 내밀다)
불고
불긋불긋
불ᄎ길
불다
X拿둥 4비둥(沸騰)
4:려'
불렀다
불며
불면증(不眠症)
X불장증 〜불면중(不眠症)
불국1
붉다
불니다
붓다(注)
X붓석 〜부씩
ì›”4
8
8
33
8
12
42
22
22
11
12
41
32
12ï¼› 23
47
26
20
12
47
47
30
24
12
23
18
24
2
2
9
2
4
31
12
4 9
2
4ï¼› 12
40
13
4
40
40
7
2
4
2
9
2
― 93 ―



붉어지다 (붉게 되다)
비둥(沸騰)
비로소
비 인 간적
X 비 인간적 ᅳ비인간적
빌어 먹다 (얻어 먹다)
빗나가다
빗다
빚
빚다 ‘
ë¹›
빛나다
배라먹다 (《빌어 먹다》를
쓰는 말)
배,전
배천(白川)
백두산(白頭山)
X맥 히다 ᅳ박히다
개; 잇
베다
ë² ì—¬
제였다
3
40
29
55
55
3
11
11
12
12
12
18ï¼› 25
알잡아
3
19
36
36
33
‘ 19
13
13
13
16
16
16
10
47
40
57
57
10
22
21
23
23
24
32ï¼› 3(3
11
32
45
45
44
33
26
26
26
28
28^
30
다
여 였
뢰괴사
― 94 ―


사다
사라지다 (없어지다)
사랑하다
X 사량 하다 ᅳ사랑하다
사례(謝禮)
사무국
사무 국 ᅳ사무국
사뭇
4 사우 ―사촉(使赎)
사使赎)
사타구니
사탕(砂糖)
X 삭급 ―소급(溯及〉
16 30
3 11
46 51
46 51
6,7 17
55 57
55 57
11 22
40 48
40 48
29 40
36 45
40 48
11,12 21,24
2 9
2 0 9
12 22
29 39
20 33
18 31
12 25
2 9
2 0
2 9
I이-
살 기 음
을이 에. 림 코 일 다을 이에
삯삯삯삯산살살살삶삶 삶삶
― 95 ―


삼국 유사
삼발이
샅실"이
샀다
서
서다
ì„ ìž 
X 선조 ―세척(洗灘)
선웃음
섬달
설다
성내리
X경략 ―생략(省略)
^다
섰다
소고기
소급(溯及〉
소나무
속
속삭이다
속하다
즉히
속없다
속옷
속이다
11,18 20,31
29ï¼› 33 39ï¼› 44
599000585436840884007 21
5333333433 2 5 4 2344 324 3 4 3
1 9 9 6 6 6 3 0 32 2 20 2 6 1 0 11
5 2 2 1 1 1 2 4 2 2 1 5 4 1 1 4 4 2 1
29
25
31
18
― 96 ―


속,잎 19 33
^ë‘¥ 19 32
손잡이 29 39
손아귀 18 31
손을 2 8
손이 2 8
손에 2 8
솟다 11; 12 21,23
솥 12 24
슴다 12 24
수뇨관(輸尿管) 5 16
수,자(數字) 19 33
수캐 20 33
수탉 20 33
순안읍 52 56
숨가락 22 34
숨기다 25 36
ì«“ 12 24
å…¨ 12 24
줄며시 29 41
줄적줄적 50 55
술퍼도 하다 46 52
줄피하다 46 51
술퍼 하다 ᅮ술피하다 46 51
― 97 ―


ᄉ
쥴프다 28 38
술하 34 44
습관 34 44
습득(拾得) 36 45
승강기(昇降機) 36 45
승낙(承諾) 36 45
숭리 34 44
시,누렇다 후 24 35
시름없다 ‘ 12 25
시사(示唆) 40 48
X시중 ―시사(示唆) 40 48
시1럽다 29 41
시월(十月) 36 45
ì‹ ê³  2 9
신다 2,12 9,22
ì‹ ì–´ 2 9
싣다 12 22
X 실중실중 ᅳ실룩실룩 10 20
실毒실흘 10 20
실죽하다 26 37
실없다 12 25
실없이 29 39
심다 12,13 23; 27
심히 31 42
심어 13 27
― 98 ―


ᄉ
심었다 11,1器
십일(十日)
십원(拾圓) 36
싱긋싱긋 11
싶다 12
싫다 12
새'노랗다 24
생략(省署) 40
세눈이 29
제 척 (洗腦) 40
세 계 (世界) 7
X세계 ―제계(앞界) 7
#
X쇠고기 소고기 41
부천 ᅳ쇠붙이 크9,32
쇠 4 32
X 싁이다 ᅳ속이다 컁3
X | 기다 ᅳ숨기다 33
4 다 12
자라나다 3
자주 29
자칫하면 11
자빠지다 。 3
자연히 31
작히 30
좔다 12
― 항9 ―
27
45
45
22
24
25
2
ìš”
35
8 9
4 3
48
48
39,43
43
44
44
23
11
40
22
42
42
23